목차
1. 맛(Flavor)이란?
2. 순수한 맛의 종류
3. 매운맛, 떫은맛
1. 맛(Flavor)이란?
특정 물질(음식물)이 혀에 닿을 때 느껴지는 감각. 혀의 유두 안에 위치한 미뢰의 미세포로 맛을 느낀다. 미뢰를 통해 전달되는 자극이 기본 맛(Taste)을 이루고 후각, 촉각, 냄새, 온도, 점탄성 등이 합쳐져 전체적인 맛(Flavor)을 이룬다.
* Taste : 달다, 짜다, 시다, 쓰다, 감칠맛 나다.
* Flavor : 진하다, 담백하다, 고소하다, 깔끔하다, 민트맛(순수한 맛 + 민트향), 딸기맛(순수한 맛 + 딸기향)···
* 미각(Gustation) : 맛을 느끼는 감각
2. 순수한 맛(Taste)의 종류
본래는 4가지(단맛, 짠맛, 신맛, 쓴맛)였으나 감칠맛이 더해진 5가지로 바뀌었다. 1908년 일본 도쿄대학 화학과 교수인 이케다 기쿠나에가 감칠맛을 발견하였다. 다음 해인 1909년에 아지노모토라는 회사가 조미료(글루탐산나트륨)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 감칠맛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 과학적 증명이 불가능했는데 2000년 2월 어느 연구진이 혀에서 글루탐산 수용체를 찾아냄으로써 감칠맛도 하나의 맛으로 인정받았다.
우리는 혀의 맛 지도가 위의 그림처럼 정확히 구분되어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사실이었다. 미국의 어느 교수가 맛을 감지할 수 있는 수용체가 입천장과 혀 전체에 분포해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개인마다 특정 부위에서 맛을 느끼는 정도가 차이가 생길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혀의 모든 부위를 통해 맛을 느낀다.
3. 매운맛, 떫은맛
이는 순수한 맛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고통이나 압력에 가깝기 때문이다. 매운맛은 고추의 캡사이신이나 마늘의 알리신, 고추냉이의 시니그린과 같은 화합물들이 촉각 감각 수용체에 반응하면서 만들어내는 고통(통각)이다. 떫은맛은 덜 익은 감, 멸치 내장, 녹차에 들어있는 탄닌이라는 화합물이 혀 점막의 단백질과 반응하여 만들어내는 압력(압각)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 후기(총 6주) (0) | 2023.03.29 |
---|---|
T 멤버십 편의점 할인 (0) | 2023.01.02 |
크림과 슈크림 차이 (0) | 2022.12.27 |
야채와 채소 (0) | 2022.12.26 |
버터와 마가린 차이점 (0) | 2022.12.24 |
댓글